QA: 내부적으로 의도한 바가 구현이 잘 되었는지 체크하는 과정 버그 리스트업하기- 의도와 달리 잘못만들어진 것들을 전부 일일이 적어놓는다.QA 템플릿 제공 발견된 버그가 약 120개 → 우선순위에 맞춰 높음부터 해결한다. 우선순위높음유저 Flow가 끊긴 경우앱에 접속 → 하의 카테고리 접속 → 캐주얼 진 하위카테고리 접속 → 원하는 청바지 선택 → 상세페이지로 이동 → 구매하기 → 결제BM에 영향을 준 경우이 서비스로 인터렉션을 통해 고객들에게 돈을 받는 경우도 있다.브랜딩에 어긋나는 경우부드러운 느낌의 서비스 디자인을 필요로 했으나 날카롭게 나왔다면?=> 브랜딩이 어긋나게 되면 사용자 머릿속에 이미지가 떨어지게 되고, 사용성도 자연스레 떨어지게 된다. 보통핵심기능 : 고객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하는 구..
피그마를 활용하여 화면정의서 만들기회사에서의 업무 : 화면정의서 → 개발 / 디자인 → QA → TC → 업데이트 그래서 회사에서 피그마로 만들어진 화면정의서는 포트폴리오로? 쓸 수 없다. 화면정의서 → 상상으로 모든 이용이 가능한가? No. → 직접 해보는 것이 Best개발 → 3개월 ~ 5개월그동안 기획은? 다음 스텝을 가야 한다.완성을 위한 과정 => 그게 바로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실무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고객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줄 때 유용한 결과최단시간, 최소기능으로 고객에게 주는 제품완성본과 거리가 멀어도 된다. cf. MVP : 최소기능ex. 차 → 실제 차실제 차를 만드는 것보다, 유사 소품을 이용하여 나무젓가락으로 제작ex2. EBS : 동영상 플랫폼(-> 여러 강의)잇기 : 카카오..
유즈케이스 (Use Case)정의: 특정 시스템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시나리오. 유즈케이스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설명한다 목적: 시스템의 기능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개발자와 이해관계자가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구성 요소행위자(Actor):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사용자 또는 다른 시스템.목표(Goal): 행위자가 달성하려는 목표.시나리오(Scenario): 행위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들.예시: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하는 유즈케이스 유저 플로우 (User Flow)정의: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을 통해 이동하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 목적: 사..
화면정의서의 영역별 구성1) 상단 영역- 화면들의 메타데이터를 넣는다. 필수화면의 이름부가버전작성자명DepthPage (PPT에서는 필요함)화면 기획의도작성 날짜양식을 PPT로 만드는 방법상단의 [보기] 메뉴 -> [슬라이드 마스터] -> [레이아웃 삽입] 슬라이드 마스터에서 페이지 넘버는 #인데 이걸 상단 우측으로 와서 놔주면 페이지 번호가 나온다.이렇게 만든 양식을 가져다가 쓰면 되는데, [새 슬라이드] 에서 사용자 지정 형식을 선택하면 만든 부분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 화면 영역-> 어떤 기기로 하느냐가 중요.기기 선정모바일PC (16:9)⇒ 프레임 설정 (비율) → 구글에 검색 “갤럭시 노트4 해상도” ⇒ 픽셀 → 비율아이폰은 일반 기종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드 방식UI 요소의 레이아웃만..
화면정의서 만들기 전- 디자이너와 역할 분담의 기준을 정해야한다. 하나의 기준Case 1) 디자이너가 보통 이상이다.한 화면에 들어가는 구성 요소와 기능정의 → 기획자 역할색상, 폰트, 디자인적 요소등 → 디자이너 재량기획자가 구성요소는 정의한 대로 화면에는 다 있어야 한다.이 화면에 대한 평가는 사용자가 하는 것. ex. 잔망루피, 빵빵이이런 경우는 우리가 어떤 서비스인지 싱크가 다 맞춰진 상태. Case 2) 디자이너가 너무 주니어다.디자인 컨셉 정의 디자인가이드 참여> → 기획자 역할나머지 디자인 업무 → 디자이너 툴을 정한다. PPT회사가 오래된 경우보안이 중요한 경우현재 6정도Figma최신 트렌드현재 4정도수정 / 협업이 용이하다.Tip- 버전 : 기능정의서의 버전과 동일하게 앞을 맞춘다.- e..
화면 정의서기능정의서 : IA를 바탕으로 화면을 만들어 기능을 정의하는 문서=> 기준 ex. 사과를 말로(텍스트로만) 설명한다면?사과 : 과일이고 빨간색의 외형을 갖고 있으며 속에는 노란색의 모형을 띄고 있다. 시각화부터 들어가게 되면 속의 내용을 파악을 못하고, 실제로는 텍스트부터 필연적으로 진행을 해나가야 한다.-> 의미를 파악하면서 시각화를 같이 해 나갈 수 있음.⇒ 텍스트의 한계 → UI&UX 차원의 것 ⇒ 화면정의서에서 할 내용 UI- 유저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요소들ex. 노션에 눈에 띄는 거의 모든 요소. 잘 만든 UI란?플랫 디자인 * : 무채색유저가 직관적으로 UI를 인지하는 것예쁘다 / 안 예쁘다를 기준으로 하면 안 된다.ex. 노션의 공유 버튼 => "공유..
기능정의서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각 기능의 세부 사항을 문서화한 것.이 문서는 개발팀과 이해관계자들이 소프트웨어의 각 기능이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일반적인 기획안 → '방향성' 을 제시세부사항에 대한 것들은 아니다.=> "조율과정" 정의 ⇒ 기준이 된다.함부로 바뀌기 어렵다 ⇒ 약속정의는 같은 레이어의 말을 적는 것이 아니다!깡? → 배포? ⇒ 정의X런닝맨 705회 화면 갈무리런닝맨 705회 화면 갈무리런닝맨 705회 화면 갈무리런닝맨 705회 화면 갈무리 그렇다면 정의란?- 한 단계 아래 뎁스로 가서 설명을 하는 것 사전적 정의? X → 서비스에 한정되서 적용되는 정의 ex. 버튼버튼 : 클릭하는 UI이다 → 사전적 정의버튼 : 클릭하면 초록..
질문자 일단 그럼 아이돌 팝업스토어 정보를 제공하는 앱 서비스를 만들 거야. 내가 제공하고 싶은 세부 서비스는 크게 이정도 돼 1. 일정 관리- 소속사는 소속 아이돌의 팝업스토어 일정에 대한 고지를 할 수 있어.- 그리고 그 고지된 것을 고객은 확인할 수 있어.- 어드민은 이 일정에 대해 총체적인 관리를 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소속사가 일정을 플랫폼에 업로드하면, 이걸 어드민이 최종 검수하고 등재 여부 허가를 내주면 앱에 등록이 되는 것이고, 반려하면 등재가 안 되는 거지. 2. 실시간 재고 확인- 아이돌 팝업스토어에서 해당 아이돌에 대한 굿즈를 판매할 거 아니야? 이런 경우에 여러 제품 중에 어떤 제품이 품절되었고, 어떤 제품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재고 확인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싶어. 3. 대기시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