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전통 IT 인프라 구조 구성- 웹 서버 (Web Server): 사용자 요청을 받아 전달. 일종의 '인포데스크' 역할-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Web Application Server):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 데이터베이스 서버 (DB Server): 실제 데이터 저장소 흐름1)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로그인 요청2) 웹서버가 요청을 받아 WAS에 전달3) WAS가 DB에 쿼리를 날려 로그인 정보 확인4) 결과를 다시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 (ex: “로디님 안녕하세요.”) 특징- 서버 역할 분리로 보안 강화, 전문성 향상- 물리적 서버 사용 → 장비 도난/정전 사고 우려 (2) 모던 IT 인프라 특징- 서버 클라우드화: 서버를 클릭 몇 번으로 복제/축소 가능 → 유연성↑- 디..

화면설계- 지붕이다. 지붕이 잘 올라기기 위해 한장 한장 벽돌을 예쁘게 쌓아야 하는데, 이 아래 있는 것들이 잘 받쳐주어야 한다. 하부 구조- 먼저, 정보 설계를 하지 못하면, 화면 설계서를 만들 수가 없다.- 그리고 요구 사항 정의. 인하우스든 에이전시든 간에 주요 기능들이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것. 정책서- 서비스 정책서에서 만들어줌으로써 어떤 기능이나 메뉴들이 만들어졌을 때 운영할 수 있는 어떤 원칙을 제공하는 것. 그래서 이것이 화면 설계서에 영향이 있다. 예시회원 등급이 변경되게 되면 화면 설계서에 이 부분을 반영해줘야 돼 회원 가입을 할 때부터 이 사람의 등급을 설정할 수 있게 하거나,자기가 갖고 있는 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마이 페이지 상세에서 등급 정보를 제공해 줘야 한다. 이렇..

기획자란?- 문제 해결의 최전선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아가는 사람. 그런 것들을 고민하는 사람.- 그런데 그 문제가 꼭 어떠한 극복해야 될 대상이 아니고 만들어야 할 대상이나 목표일 수도 있다. 기획의 범위와 특징상황 설정 : 건물을 만든다.이것 자체가 기획적 업무, 그리고 시공 과정에서는 시공자들이 건축을 만든다.마찬가지로 웹사이트나 서비스에서도 일을 만드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러한 기획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분화되고 있다.그래서 어떤 비즈니스 레벨에서의 인사이트와 설계를 하는 사람들을 우리가 사업 기획자라고 부르는데, 이 사람들은 뭘 하는 거냐면 이 사람들의 산출물은 비즈니스 모델링이다.“돈이 어떻게 들어왔을 때 돌다가 어떻게 나가” 그 설계를 한 사람이 서비스 기획자라고 할 수 있다. 서비..

해당 블로그 글 시리즈는 Udemy에서 수강한 을 수강하며 내용을 일부 정리한 부분을 커리큘럼에 따라 정리해본 수강록입니다. 서비스 기획의 분류 신규로 만들어진 서비스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리뉴얼하는 과정에서의 변경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업무가 포함되어 있다. 기획 업무 중에서는 신규로 만들어진 서비스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리뉴얼하는 과정에서의 변경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업무가 포함되어 있다. 서비스기획은 크게 전략기획, 구축기획, 운영기획으로 분류해볼 수 있는데, 전략기획 :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리서치 + 인사이트구축기획 : 착수-설계-구현-검수 의 단계에 따른 프로젝트. 즉, 실제 구현을 위한 것운영기획 : 중장기적인 목적으로 기존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점진적 개선 프로젝트 전략기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