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Owner (PO)Product Owner는 주로 애자일(Agile) 개발 환경에서 활동하는 역할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관리하고 개발 팀과 밀접하게 협력하여 제품 기능이 올바르게 개발되도록 보장한다.PO의 주요 초점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우선순위 관리와 팀과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주요 역할백로그 관리: 기능 요구사항, 버그 수정, 기술적 부채 등의 항목을 포함한 제품 백로그를 작성하고 우선순위를 설정 팀과의 소통: 개발 팀과 긴밀히 협력하여 제품 기능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구현되도록 한다.개발 중 발생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요구사항을 조정하는 역할 수행. 스프린트 계획: 스프린트 목표를 설정하고 팀이 달성해야 할 작업을 명확히 정의한..
UX 리서처사용자가 제품, 서비스, 또는 웹사이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전문가.=> 주요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와 행동을 깊이 이해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통일하거나 기준을 정해주거나 한다. 주요 역할사용자 연구: 인터뷰, 설문조사, 사용자 테스트, 현장 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와 문제점을 파악한다. 데이터 분석: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 문제점, 기회 등을 도출한다. 인사이트 제공: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디자인 팀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사용자 페르소나 개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유형(페르소나)을 정의하여 디자인에 반영되도..
프로덕트 디자이너 Product Designer프로덕트 디자이너(Product Designer)는 제품의 전반적인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책임지는 직무로, UX와 UI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의 전체적인 전략과 기능, 사용성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역할사용자 조사 및 문제 정의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필요와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조사를 진행한다.이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어떤 기능이 필요할지 정의를 수행한다..아이디어 구상 및 컨셉 개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의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이를 구체적인 디자인 컨셉으로 발전시킨다.이 과정에서는 제품의 목적, 기능, 사용자 흐름을 고려하여 다양한 솔루션을 탐색해 나간다.UX/UI 디자인 통합: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UX 디자이너와 UI 디자이너는 사실 떼레야 뗄 수 없는 업무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먼저UX 디자이너 하는 일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역할 사용자 조사(User Research): 사용자의 필요와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뷰, 설문 조사, 사용성 테스트 등을 수행함.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파악한다.정보 구조 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구조를 설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이는 메뉴 구조,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작업.와이어프레임 및 프로토타입 제작: 제품의 구조와 레이아웃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와이어..
테스트크게 출시 전 테스트와 출시 후 테스트로 나눌 수 있음. 출시 전 테스트란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디자인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 와이어프레임이나 스케치를 가지고 유저에게 보여줘서 피드백을 받는 경우도 많다.==> 로우파이와 미드파이 프로토타입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뜻 출시 전 테스트의 대표적인 사례가 사용자 테스트이다. 출시 후 테스트는 출시 또는 업데이트 된 기능/제품이 사용자의 이용을 더 올리는 등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조사.린 스타트업 관점에서는 출시 그 자체도 테스트가 될 수 있음. 결국 계속해서 사용자를 배워야 하는데, 출시 자체도 배움의 과정이고. 예시1) 정량적 데이터 확인갤러리 기능을 넣은 후 제품 상세페이지에서의 구매율이 10% 상승하였다.2) ..
프로토타입(Prototype): 제품, 시스템, 또는 아이디어의 초기 버전으로, 최종 제품의 기능, 디자인, 사용자 경험 등을 테스트하고 검토하기 위해 제작된 모델프로토타입은 최종 제품이 어떻게 작동할지, 어떤 모습을 가질지를 미리 시각화하고, 실험해보기 위해 만들어지며,여러 차례 수정과 개선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으로 발전하게 된다.프로토타입의 종류인 로우(Lo-Fi), 미드(Mid-Fi), 하이(Hi-Fi)는 프로토타입의 정교함과 디테일 수준에 따라 구분됨. 앞선 아이디에이션 단계에서 수많은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이 모든 것을 출시까지 가져갈 수는 없다.즉, 리소스는 항상 정해져 있다는 뜻.그래서 이 수많은 아이디어 중에 한두개로 줄이는 것. 이 시제품을 만드는 게 프로토타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
아이데이션(Ideation)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폭넓게 생성하는 과정.이 단계는 정의하기(Define) 단계에서 명확히 한 문제 진술을 바탕으로, 가능한 다양한 해결책을 탐색하는 것이 목표.이 단계는 양질의 아이디어를 많이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두며, 비판이나 제한 없이 자유롭게 발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방법은 브레인스토밍과 경쟁사 리서치 경쟁사 리서치의 경우 우리가 만든 제품과 경쟁관계에 있는 회사들의 제품을 보는 것도 경쟁사 리서치가 될 수 있지만 비슷한 업종의 다른 제품 또는 완전 다른 제품, 다른 업종이지만 또 영감을 줄 수 있는 것들은 리서치 안에 포함시켜서 볼 수 있다. GPT가 소개하는 주요 기법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팀원들이 모여 자유롭..
정의하기-> 공감 단계 완료 후 수행. 앞서 수집한 데이터가 엄청나게 많을 것이니, 이 데이터 수집한 것을 토대로 우리 제품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솎아내는 것. 이것들이 인사이트가 된다 ==> 핵심은 문제점 도출 하지만 문제점이 매우 많을 테니 골라내는 것이 중요. 다시 정리하자면 1. 사용자 인사이트 도출: 공감하기 단계에서 얻은 사용자 인터뷰, 관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한다.이때 사용자의 잠재적 요구나 불편함, 기대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2. 페르소나(Persona) 작성: 사용자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대표적인 사용자 유형을 정의한다.=> 페르소나는 특정 사용자 집단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로, 이들이 겪는 문제와 필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