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터디를 하다가, 정보의 순정성과 관련된 설명이 나와서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정보의 순정성(Information Integrity)
"정보가 원래 의도된 대로 변질되지 않고, 신뢰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보가 생성된 후부터 전달되고 사용될 때까지 일관성과 무결성이 보장되는 것을 말한다.
주요 요소
- 정확성(Accuracy): 정보가 사실과 일치하며 오류 없이 제공되는지 여부.
- 일관성(Consistency): 정보가 여러 시스템 또는 채널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 여부.
- 신뢰성(Reliability): 정보가 의도된 목적에 부합하고,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
- 무결성(Integrity): 정보가 승인되지 않은 수정 없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
예시
데이터베이스 관리
- 시스템에서 특정 데이터가 여러 테이블에 걸쳐 저장된 경우, 이 정보가 언제나 동일한 값을 유지해야 함.
전자상거래
-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제공된 정보(가격, 재고 수량 등)가 정확해야 신뢰할 수 있음.
의료 기록 시스템
- 환자의 의료 기록이 변조되지 않고 정확하게 유지되어야 함.
정보의 순정성이 중요한 이유
- 정보의 순정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잘못된 정보로 인해 의사 결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뢰 손실, 법적 문제, 재정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 따라서 기업, 특히 데이터와 정보에 의존하는 비즈니스에서는 정보의 순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임.
부연 설명 (이 관점에서 볼 때)
- 두 가지의 의미
- 입력한 정보가 맞는 정보냐 아닌 정보냐에 대한 판단
- 그리고 또 하나는 그 회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이 의미는,
- 정보의 순정성이라는 단어를 회원 식별 정보의 유무와 입력된 정보의 진위 여부와 관련하여 사용함.
- 이 경우, 정보의 순정성을 설명할 때, 개인의 신원이나 식별 가능한 정보가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유지되는지를 의미하는 것.
정리하자면
입력된 정보의 진위 여부
-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사실인지, 올바른지를 검증하는 과정.
- ex) 회원이 입력한 이름, 연락처, 주소 등의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
회원 식별 정보의 보호 및 익명성
-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누락되거나 제거된 상태에서 정보의 순정성을 유지하는 것.
- ex) 특정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해당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의 신뢰성과 진정성을 보장하는 것.
이러한 맥락에서 "순정성"이 의미하는 것
- 데이터의 완전성(Integrity)과 **익명성(Anonymity)**을 결합한 개념이라 할 수 있음.
- 즉, 정보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면서도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포함되지 않거나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지향하는 것.
예시
- 회원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하면서도,
이 과정에서 개인의 식별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순정성을 지키는 것이라 할 수 있음.
- ex, 회원이 온라인 쇼핑몰에 가입할 때 본인의 이름과 연락처를 제공했지만, 실제로 시스템에서 해당 정보가 암호화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필요한 검증 과정만 수행된다면, 이 경우 "정보의 순정성"이 보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런 개념이 순정성 개념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회원 정보를 보호하면서도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이를 정보 순정성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획] >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레코드와 CName (1) | 2025.01.02 |
---|---|
본인인증과 점유인증 (0) | 2024.12.30 |
RAG 기술을 CHAT GPT에게 물어보았다. (0) | 2024.12.24 |
비즈니스 모델(BM) (1) | 2024.12.23 |
조직 운영법 - 애자일 (0)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