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 시기 - 운영 매뉴얼 작성오픈 시기가 확정되면 운영 매뉴얼'을 작성하여 인수인계 준비(개발팀 -> 운영팀)를 한다.- 운영 매뉴얼은 담당 기획자가 작성하며, 운영팀의 막내가 새로 들어와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기록해야 한다. - 문서만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예를 들어, 관리 포인트가 있으면 그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각 영역의 이미지와 텍스트가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구체적으로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운영 매뉴얼을 바탕으로 운영팀에 인수인계가 이루어진다. - 운영 매뉴얼 작성이 완료되면, 대면 교육을 통해 운영팀에게 인수인계가 이루어진다.- 인수인계가 완료되면, 기획자는 프로젝트에서 철수하고, 인하우스라면 직접 운영에 참여하게 된다.- 운영에 참여하게 ..
구현 단계구현 단계에서는 디자인, 퍼블리싱, 프로그래밍이 차례로 진행된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화면 설계서를 바탕으로 그래픽 작업이 진행되며, “재해석”- 트렌드에 맞추고, 요소는 살려두면서 맛을 살리고, 요소의 재조합,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방향 등. - 기획 쪽에서는 요소들이 유지가 되어야 한다. 순서를 지켜야 한다는 것은 강조가 필요.디자인은 재료를 가지고 재해석해서 맛을 내는 단계이고 그래픽적인(미적인) 것을 통해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더 몰입감 있게 쓰게끔 하는 목적이다 보니까 그 해석하는 과정에서 요소를 없애거나 구조 변경하는 것들에 대해서 적절한 피드백을 줘야 한다 - 퍼블리싱 단계에서는 디자인된 그래픽을 HTML, CSS, JavaScript로 코딩하여 웹 브라우저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구조도- 정보 구조도를 작성할 때는 페이지마다 고유한 화면 아이디를 부여하여, 그 아이디를 기준으로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설계를 통해 사이트의 정보 구조를 명확히 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면 설계가 진행된다. 이건 페이지 단위로 정의한다.# 물론 정보 구조의 단위가 항목도 있고 영역도 있고 페이지도 있고 메뉴도 있긴 하다. 방법정보 구조도는 페이지마다 고유 아이디(화면 ID)를 부여하여, 각 페이지가 명확히 구분되도록 한다.기존에 나와있던 구조를 해체하되, 버리진 않고 범위 내에서 기획자의 재해석으로 더 나은 구조를 만들어주는 것.메뉴 코드와 화면 아이디를 연계 하여,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메뉴명의 앞 두자리를 이용해서 코드를 만든다. 이..
요구사항 정의서(PRD) vs 제안서 vs 수행 계획서PM이 수행 계획서를 작성하고 나면, 그때부터 기획자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 때 기획자가 가장 먼저 작성하는 산출물은 '요구 사항 정의서'이다.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라고 부르기도 한다. 요구사항 정의서와 수행 계획요구 사항 정의서는 RFP나 미팅에서 나온 요구 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기획자가 요구 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 사항 정의서를 작성한다.요구 사항 정의서는 기획자의 중요한 첫 번째 산출물이다. PRD는 제안서와 내용이 유사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 제안서는 RFP에 따른 변화와 그에 따른 제안 사항을 담고 있는 반면, (변화에 대한 약속)- 수행 계획서는 절..

로디 기획 서비스 실무 트레이닝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운영과 전략은 각각의 일하는 프로세스를 갖고 있지만, '구축'은 거의 일반화된 방법론을 지니고 있다. 우선 착수, 설계, 구현, 검수라는 단계로 나누어진 이 방법론은 오래된 소프트웨어 방법론. 구축 프로세스 워터폴이러한 방법론의 특성을 '워터폴(Waterfall)'이라고 부르는데, 앞 단계가 끝나야 뒷단계가 시작되므로, 앞 단계가 지연되면 뒷단계까지 영향을 받아 늘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애자일(Agile) 방법론도 있지만, 현 시점에서는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SI 프로젝트나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 흔히 만나게 되는 방법이다. 착수의 근거 : 계약 착수의 근거- RFP(Request ..
홈페이지 퍼블리싱을 진행하게 되면서, 깃 브랜치를 다룰 일들이 많아서, 자주 사용하는 것을 정리하고자 글을 남긴다. 먼저,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고 이동하는 명령어=> "Git에서 새로운 home 브랜치를 만들고 이동하는 명령어" 1. 두 단계로 나누어 실행하는 방법git branch home # 새로운 'home' 브랜치 생성git checkout home # 'home' 브랜치로 이동 2. 한 번에 실행하는 방법git checkout -b home # 새로운 'home' 브랜치를 생성하고 바로 이동-> -b 옵션은 브랜치를 생성(branch)하고 바로 이동(checkout)하라는 의미 브랜치가 성공적으로 생성되고 이동되었는지 확인git branch # 현재 브..

참고 페이지1. Next.js에 Tailwind 세팅https://tailwindcss.com/docs/guides/nextjs Install Tailwind CSS with Next.js - Tailwind CSSSetting up Tailwind CSS in a Next.js v10+ project.tailwindcss.com 2. Next.js CLI 세팅https://nextjs.org/docs/pages/api-reference/cli/create-next-app CLI: CLI | Next.jsCreate Next.js apps using one command with the create-next-app CLI.nextjs.org 1. nvm 설치1) nvm 릴리즈 페이지를 방문한다.https..
개인정보 처리 방침과 정보 수집의 차이개인정보 처리 방침은 단순히 회사가 개인정보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공지하는 문서일 뿐.이 방침은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처리 방침에 위배되는지 여부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개인정보 처리 방침은 회사 내부의 운영 방침을 명시한 것으로, 이를 공적인 규제 기관(예: 한국정보통신진흥원)에서 강제하거나 규제하는 것은 아니다. 법적 사항과 정보 수집 정책의 연관성정보 수집 항목을 결정할 때 법적 사항을 참고하는 것은 올바른 접근이다.그러나 이를 비교 대조하면서 작성한다고 해서 모든 서비스가 동일한 기준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법적 영향을 받는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금융 서비스와 헬스케어 서비스가 있다.이러한 분야는 민감 정보의 수집 및 처리가 중요한 이슈로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