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계의 전제가 되는 사항들 설계란?화면 설계를 통해 기획자들이 상품을 납품하는 과정 이다.>> 설계서의 가치는 기획자의 가치와 맞먹을 정도로 중요하다. 그러나 이 설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IT 인프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IT 인프라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포함하며, 이 위에 서비스 정책, 요구사항, 사용성이 토대로 올라간다. 정책에는 회원 정책, 상품 정책, 주문 정책, 할인 정책 등이 포함된다.요구사항은 앞서 이야기한 여러 가지 요구사항을 기록한 것이고, 사용성은 UX 가이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이 기초가 되어 정보 설계와 정보 구조도가 만들어지고, 그 위에 화면 설계서가 지붕처럼 얹혀지는 구조다. => 이 기반이 튼튼할수록 더 안정적인 설계를 할 수 있다. IT 인프..

서비스 정책- 인하우스에서는 서비스 정책서를 기준으로 프로덕트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외주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는 최신 정책을 요청하거나, 신규 프로젝트라면 정책을 먼저 요청해야 설계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 인프라 위에 정책이라는 기둥이 있고, 이 정책이 기울어지면 정보 설계나 화면 설계서가 제대로 세워질 수 없다. 정책의 의의정책은 일종의 법률과 같다.- 서비스가 작동할 수 있는 원리를 담고 있는 법률과 같은 역할. 서비스 정책에는 회원 정책, 상품 정책, 주문 정책, 프로모션 정책 등이 포함된다.예를 들어, 회원 정책에는 회원 가입과 탈퇴, 로그인 시 필요한 정보, 회원이 마이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이 명시된다.회원 정책에서 중요한 항목은 회원 가입,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한..

요구사항 정의서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착수 단계에서 수행 계획서가 리뷰되고, 기획자들은 요구사항 수집 단계에서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한다. 요구 내용클라이언트나 현업에서 발의된 요구사항을 정리한 것이며,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해결 방법을 사전에 1차 협의한다.- 이 과정이 원활하지 않으면 설계 시간이 길어지고, 오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요구사항에 대해 "이렇게 해결하겠습니다"라는 식으로 합의점을 도출해야 한다.- 이 요구사항이 수용될지 여부는 PM이 결정하며, 계약 범위에 포함되면 수용, 그렇지 않으면 제외되는 방식이다. 구성 요소등록일과 요구사항 근거구현이 1차, 2차로 나누어지는 경우에는 요구사항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고, 필터링을 통해 잘 확인할 수 있다. -..

오픈 시기 - 운영 매뉴얼 작성오픈 시기가 확정되면 운영 매뉴얼'을 작성하여 인수인계 준비(개발팀 -> 운영팀)를 한다.- 운영 매뉴얼은 담당 기획자가 작성하며, 운영팀의 막내가 새로 들어와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기록해야 한다. - 문서만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예를 들어, 관리 포인트가 있으면 그 관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각 영역의 이미지와 텍스트가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구체적으로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운영 매뉴얼을 바탕으로 운영팀에 인수인계가 이루어진다. - 운영 매뉴얼 작성이 완료되면, 대면 교육을 통해 운영팀에게 인수인계가 이루어진다.- 인수인계가 완료되면, 기획자는 프로젝트에서 철수하고, 인하우스라면 직접 운영에 참여하게 된다.- 운영에 참여하게 ..
구현 단계구현 단계에서는 디자인, 퍼블리싱, 프로그래밍이 차례로 진행된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화면 설계서를 바탕으로 그래픽 작업이 진행되며, “재해석”- 트렌드에 맞추고, 요소는 살려두면서 맛을 살리고, 요소의 재조합,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방향 등. - 기획 쪽에서는 요소들이 유지가 되어야 한다. 순서를 지켜야 한다는 것은 강조가 필요.디자인은 재료를 가지고 재해석해서 맛을 내는 단계이고 그래픽적인(미적인) 것을 통해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더 몰입감 있게 쓰게끔 하는 목적이다 보니까 그 해석하는 과정에서 요소를 없애거나 구조 변경하는 것들에 대해서 적절한 피드백을 줘야 한다 - 퍼블리싱 단계에서는 디자인된 그래픽을 HTML, CSS, JavaScript로 코딩하여 웹 브라우저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구조도- 정보 구조도를 작성할 때는 페이지마다 고유한 화면 아이디를 부여하여, 그 아이디를 기준으로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설계를 통해 사이트의 정보 구조를 명확히 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면 설계가 진행된다. 이건 페이지 단위로 정의한다.# 물론 정보 구조의 단위가 항목도 있고 영역도 있고 페이지도 있고 메뉴도 있긴 하다. 방법정보 구조도는 페이지마다 고유 아이디(화면 ID)를 부여하여, 각 페이지가 명확히 구분되도록 한다.기존에 나와있던 구조를 해체하되, 버리진 않고 범위 내에서 기획자의 재해석으로 더 나은 구조를 만들어주는 것.메뉴 코드와 화면 아이디를 연계 하여,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메뉴명의 앞 두자리를 이용해서 코드를 만든다. 이..
요구사항 정의서(PRD) vs 제안서 vs 수행 계획서PM이 수행 계획서를 작성하고 나면, 그때부터 기획자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 때 기획자가 가장 먼저 작성하는 산출물은 '요구 사항 정의서'이다.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라고 부르기도 한다. 요구사항 정의서와 수행 계획요구 사항 정의서는 RFP나 미팅에서 나온 요구 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기획자가 요구 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 사항 정의서를 작성한다.요구 사항 정의서는 기획자의 중요한 첫 번째 산출물이다. PRD는 제안서와 내용이 유사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 제안서는 RFP에 따른 변화와 그에 따른 제안 사항을 담고 있는 반면, (변화에 대한 약속)- 수행 계획서는 절..

로디 기획 서비스 실무 트레이닝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운영과 전략은 각각의 일하는 프로세스를 갖고 있지만, '구축'은 거의 일반화된 방법론을 지니고 있다. 우선 착수, 설계, 구현, 검수라는 단계로 나누어진 이 방법론은 오래된 소프트웨어 방법론. 구축 프로세스 워터폴이러한 방법론의 특성을 '워터폴(Waterfall)'이라고 부르는데, 앞 단계가 끝나야 뒷단계가 시작되므로, 앞 단계가 지연되면 뒷단계까지 영향을 받아 늘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애자일(Agile) 방법론도 있지만, 현 시점에서는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SI 프로젝트나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 흔히 만나게 되는 방법이다. 착수의 근거 : 계약 착수의 근거- RFP(Reque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