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재고 (가상 재고) 방식
‘가재고’는 영화 티켓, 공연 좌석처럼 일시적으로 점유 가능한 자원에 적합하다.
장바구니에 담는 순간 일정 시간 동안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점유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 10~15분 단위로 오토 리프레시를 걸어 점유 상태를 해제하거나 유지한다.
- 가재고는 ‘가재고 → 실재고’ 전환 시점을 명확히 해야 하며, 보통 PG사에서 결제 성공 코드가 도달했을 때 실재고로 전환하여 재고를 차감한다.
=> 다만 공산품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재고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유는 단일 좌석처럼 명확한 단위 점유가 불가능하고, 재고 반영 타이밍이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판매중지 상태
공산품에서는 ‘판매중지’ 상태로 재고 관리를 우회하는 방식을 자주 사용한다.
- 예: 재고 수량이 3개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판매 중지 상태로 전환한다
장점
- 입고 수량이 자동 반영되어 상태가 변경된다.
- 이벤트 또는 특가 상황에서 머무르고 있는 유저들을 위한 여유 재고 확보가 가능하다.
ex) MD가 판매 패턴을 알고 있을 경우, “냉장고는 하루에 많이 팔리지 않으니 2개 이하 시점에서 판매중지 처리” 등의 전략을 설정한다.
728x90
반응형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상황 : 결제 프로세스 진행 중에 '가격 변동'이 발생했다면? (0) | 2025.04.10 |
---|---|
문제상황 : 결제 프로세스 진행 중에 재고 소진이 발생했다면? (1) | 2025.04.09 |
화면설계를 할 때, 담당자 구분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 (0) | 2025.03.23 |
화면 설계서의 타입 (0) | 2025.03.22 |
화면설계 (4) 디스크립션 (0) | 2025.02.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