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구조 정리 및 전시 카테고리 관리
As-Is와 To-Be 구조를 만들면서 요구사항 아이디를 함께 적어두면, 나중에 엑셀로 정리할 때 쉽게 기입할 수 있다.
- 이처럼 외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도 미리 정리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 그래야 이후에 마인드맵을 다시 열어보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를 바로 엑셀에서 확인할 수 있다.
Q : 모든 전시 카테고리를 정보 구조에서 전부 정리해야 하느냐?
A : "아니오, 하나의 샘플만 정리하면 됩니다."
- 전시 카테고리는 별도의 정책 문서에서 관리되며, JIRA 같은 협업 도구를 통해 운영 방식에 따라 변경된다.
그래서
정보 구조에서는 최대 몇 뎁스(Depth)까지 보여줄 것인지, 해당 분류에서 페이지는 몇 개가 필요한지를 정리하는 것이 핵심.
- 예를 들어, 여행 카테고리 안에 유럽, 동유럽, 아시아, 미주 등 세부 분류가 있다고 하면, 정보 구조에서는 "해외 여행"이라는 하나의 사례만 정리한다.
- 즉, 유럽 여행, 아시아 여행, 미주 여행 등의 목록 페이지가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더라도, 정보 구조에서는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정확한 페이지 명칭을 정리할 때도 유럽 여행 목록 페이지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만약 새로운 카테고리가 추가된다면?
이 경우는 전시 카테고리 정책 문서에서 관리되며, 정보 구조에서 직접 반영할 필요는 없다.
전시 카테고리는 어드민(Admin)에서 설정하면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는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며, 보통 전시 카테고리 정책 문서에 정리된다.
728x90
반응형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설계 (1) 개요 (0) | 2025.02.12 |
---|---|
백오피스 기획 (0) | 2025.02.07 |
리서치 리포트 (2) | 2025.02.06 |
설계의 전제가 되는 사항들 (0) | 2025.02.06 |
인하우스에서의 서비스 정책 (0) | 2025.02.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