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적 기획과 거시적 기획1차적 접근 : 시각적 정보로 직관적이게 다가온다. → 미시적 기획 노션(프로그램), 날짜(기능)2차적 접근 : 정보의 활용을 목적에 맞게 기획하는 방법 -> 거시적 기획 ⇒ 기획의 의도고객의 시청데이터스크린이 커지면 오프라인 활동보다 온라인 활동이 커지게 된다.스크린의 크기는 왜 작아질까? => 사람들이 잘 안 본다는 것.스크린이 작아진다는 건 볼 일이 적어진다는 것이고, 중요도가 떨어지며, 다른 현생의 중요한 일이 더 많다는 것=> 이건 거시적으로 봤을 때 알 수 있는 것이고, 미시적으로는 솔직히 알 수 없다.. ex. 홈화면에 로그인을 할 수 있게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1차적 접근 : 홈 화면에 로그인을 넣은 것.잘못된 접근선 의견 후 이유 붙임올바른 접근선 이유 → 결..
시장타깃 고객이 살아가는 사회"소비자만 바라보는 건 시장이 아니다. 공급자도 봐야 한다." 시장 파악-> 니즈 파악(불편함, 어려움, 필요함을 파악) 설문조사설문조사지 작성 : 구글폼- 구글 계정 로그인 → 목록 → Forms무료질문의 개수 제한이 없음섹션 구분 가능설문 결과를 테이블 형태로 볼 수 있음테이블 형태란? 액셀화-> 스프레드시트에서 확인. 작성 방법1) 질문의 순서는 답변하기 쉬운 순으로 나열한다. 답변하기 쉽다란? 사회적인 규칙에서 답변이 정해진 경우"이름" 사회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해당"만 원의 가치는?" -> 고민이 필요한 질문 2) 주어는 단수로 한다.질문이 2가지 이상인 경우 (X)과자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왜 드셨나요? 고객은 두 가지 질문에 대해 다 답변해주지 않을 수 ..
서비스 기획A가 B에게 V를 준다.B가 굉장히 중요하다→ PMF 찾는다. 그런데 대부분이 자아실현 프로젝트를 하기 때문에 망한다.: Product Market Fit ⇒ 힘든 작업 PMFPMF는 "Product-Market Fit"의 약자로, 제품과 시장의 적합성을 의미. 이는 제품이 시장의 요구와 선호를 충족시킬 때 달성되며, 해당 제품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PMF를 달성했다는 것은 고객들이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이로 인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자연스럽게 발생하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것을 의미. PMF는 스타트업이나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 기업에게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이를 통해 제품이 성장의 초기 단계를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
기획의 3단계 프로세스가설(추측고객, 1차 페르소나) → 검증(최종 페르소나) → 업데이트 (페르소나 Develop) 페르소나 (인격)ex. 로다주 - 아이언맨아이언맨이 로다주인가?=> 아이언맨을 연기하는 "인격" 이 존재=> 로다주는 아이언맨이라는 인격을 연기함. 인격은 왜 생기는가?- 내가 가족들과 있을 때, 친구들과 있을 때, 회사에서 있을 때 인격이 모두 같은가? No.--> 다 다르다.- 상황과 환경조건을 많이 받는다.- 3차원적 잘못된 예시- 우리 서비스 : 메모를 하는 서비스- 메모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 ← 미리 고객의 니즈포인트를 정의해서 연결시키면 안 된다. 결론을 미리 내놓고 뒤에 끼워맞추는 방식이다. ⇒ 객관적으로 고객을 볼 수가 없음 - 추측고객작성 → 활용 (신상정..

종류 3개- 퍼포먼스 | 운영 | 데이터 퍼포먼스 : 고객과 가장 밀접한 위치제품의 퀄리티 (Product)앱기획웹기획상품기획마케팅 기획VR, AR 등운영 : C-LevellPM(project) : 일정관리, 조율, 방향성PO전략기획백오피스데이터 : 학구열UXThumbed Zone 엄지손가락으로 편하게 이동가능한 범위 서비스 기획이란서비스 : 제공하다서비스 기획이란?A가 B에게 V를 준다.A : V를 생산하는 자B : 상황에 따라 V를 필요로 하는 자V : B의 상대적 가치에피소드 1 : 여러분들이 잇기에서 기획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A : 멘토 - 성장을 이끌어 줄 수 있는 자B : 수강생 - 실무에 부족함을 느끼는 자V : 교육과정 - 성장에피소드 2 : 마우스를 구매하였음A : 편안한 마우스를 ..
기획자와 커뮤니케이션: 각 직군, 직책, 직급에 따라 방법을 전략적으로 택한다. 1) 상급자: 신뢰성 있는 자세, 충실한 보고. (상급자의 의도 + a)A 부터 Z까지 모두 충실하게 보고하면 상급자가 귀찮아한다.그런데, 그 이상을 생각하라. 이게 반복되면 상급자에게 본인은 안정감있는 직원이 되는 것. (+ a)-- 추후에 무기가 된다. ex. 어떤 프로젝트의 원래 데드라인이 다음주 금요일.1) 퀄리티가 조금 낮더라도 데드라인을 지킨다.2) 2주 더 해서 퀄리티 올려서 마감한다.=> 기획자는 결정권자가 아니다!===> 상급자에게 30분 안에 결정해주세요 하는 게 답이다. 기획자 : 논리!!! 2) 개발자: 개발용어, 개발자 사고방식개발자는 모든 시행착오를 통달한 사람 1) Input -> ????? ->..
기획: 만든다 (발명) + 운영설계부터 운영까지의 개념을 시각화 하는 것. - 일반적으로 우리는 설계한대로만 하려고 한다. # 리니어 단계: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프로젝트 관리에서 워터폴(Waterfall) 모델 같은 순차적인 진행 방식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 이러한 모델에서 프로젝트는 명확하게 정의된 순차적 단계나 단계를 거쳐 진행되며, 각 단계는 이전 단계가 완전히 완료된 후에 시작다. 이 접근법은 프로젝트의 각 단계가 리니어(선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에 "리니어" 단계라고 불릴 수 있다. 기획자의 핵심 생각일반인 관점과는 달라야 한다.(구체적으로 바라보기)구체적으로 말하라."기록하는 습관" 이 필요하다.기획자의 금지어 : 그냥 ---> "이유를 말하라"그냥이 없어지면 ..
1. 웹 vs 앱 사례: Youtube Youtube 웹Youtube 앱접근 방법웹 브라우저를 통해 URL로 접근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후 설치설치불필요필요업데이트서버 측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앱 스토어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업데이트성능인터넷 연결 품질에 따라 좌우디바이스 자원 활용디바이스 기능 활용제한적비교적 광범위업로드웹사이트에서 직접 업로드앱을 통해 촬영 / 또는 업로드 가능오프라인 기능제한적오프라인 재생을 위한 동영상 다운로드 기능 제공멀티태스킹 지원탭 여러 개로 가능앱 내의 PiP(Picture-in-Picture) 모드 지원광고 차단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사용Youtube Primium 계정 사용하여 광고 차단사용자 경험브라우저에 따라 좌우플랫폼에 최적화된 UI와 UX 제공 2. iOS v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