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삽입 태그 src 속성은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지정 => 웹 브라우저에 알려준다. alt 속성에는 화면 낭독기 등에서 이미지를 대신해서 읽어줄 텍스트를 지정 src 속성은 웹 문서 파일과 이미지 파일이 같은 경로에 있다면, 이미지 파일 이름만 적으면 된다. 만약 하위 폴더에 있다면 src 속성에 하위 폴더와 함께 이미지 파일 이름을 적어야 한다. alt를 지정하면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이미지 파일 경로를 잘못 넣었을 때처럼 이미지를 제대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이미지 대신 텍스트가 나타난다. 화면을 꾸밀 때 사용한 이미지는 텍스트를 따로 넣지 않아도 된다. 빈 칸으로 두면 된다. width는 이미지 너비 지정, height는 이미지 높이 지정. 둘 중 하나만 지정해도 됨. 이 때 나머지 값..

01. 목록 만들기 1) 순서 있는 목록 : ol : ordered list li : list 태그의 속성값 - 기본적으로는 1부터 시작하지만, 필요에 따라 바꿀 수도 있다. 예제 오늘 공부 // 시작 바꿈 Java HTML CSS 실행 결과 2) 순서 없는 목록 ul : unordered list 예제 오늘 공부 Java는 클래스가 너무 쉬워요. HTML은 그냥 쉬워요. CSS는 나도 몰라요. 실행 결과 3) , . : 설명 목록을 만드는 태그 설명 목록(description list) 이란 이름과 값 형태로 된 목록을 말한다. 설명 목록은 이름(단어명) 부분을 지정하는 태그와 값(설명) 부분을 지정하는 태그로 구성된다. 과 사이에는 한 쌍의 태그와 태그를 넣는다. 이 때 하나에 여러 개의 를 사용할 ..

1) 태그 : 제목을 나타냄. h는 제목을 뜻하는 heading을 줄인 말이다. n의 자리에는 1~6의 숫자가 들어가며 제목 텍스트를 크기별로 표시할 수 있다. >>>>>> : 크기 닫는 태그가 반드시 필요하다. 예제 뉴진스 민지 해린 다니엘 하니 혜인 실행 결과 2) : 텍스트 단락 생성 사이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텍스트 앞뒤로 빈 줄이 생기면서 텍스트 단락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편집기에서 줄을 바꾸더라도 웹 브라우저에서는 한 줄로 표시된다는 것. 3) : 줄을 변경함 단독으로 사용하므로 닫는 태그가 필요 없음. 예제 - h1 태그와 p 태그 사용 Hello!! Java 쉬워요 스프링 쉬워요. 실행 결과 4) : 인용문 작성 시 사용 다른 텍스트보다 약간 들여써짐. 예제 비밀정원 난 아직도 ..

시멘틱 태그의 필요성 시멘틱 : '의미론적인, 의미가 통하는'. 1)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면 웹 브라우저가 HTML의 소스 코드만 보고도 어느 부분이 제목이고 메뉴이고 본문 내용인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 2) 문서 구조가 정확히 나눠지므로 PC나 모바일의 웹 브라우저와 여러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화면에서 웹 문서를 표현하기가 쉬워짐. 3) 인터넷에서 웹 사이트를 검색할 때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된다.. 예제 - 시멘틱 태그 알아보기 와는 다르다. 2) : 네비게이션 영역을 나타냄 같은 웹 문서 안에서 다른 위치로 연결하거나 다른 웹 문서로 연결하는 링크를 만듦. 내비게이션을 만들 때 사용 웹 문서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래서 헤더나 푸터, 사이드 바 안에 포함할 수도 있고, 독립..

_02_Output.java package Prac22; public class _02_Outpu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f("------- 정수 --------"); // 형식 : System.out.printf("포맷", 값1, 값2, 값3, ....); //decimal : 소수, 십진법의 // 출력을 조금 더 고급스럽게 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n' 말고 %n 으로 줄바꿈을 처리해준다.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f("%d%n", 1); // 1 System.out.printf("%d %d %d%n", 1, 2, 3); // 1 2 3 System.out.pr..

- 파일의 내용이 그대로 출력 - 사용자의 입력 값을 기다리고 있다가 사용자가 입력이 완료되면 보유한 정답과 일치하는지 확인 후 - 정답 여부를 표시 퀴즈와 정답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두 줄씩 한꺼번에 불러와서 처리하는 방법도 좋은 생각이다. same.txt는 직접 해보자 정답 파일(설명 포함) Prac22.java package Prac2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FileRead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Prac2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try (Buf..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0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정수 num1과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1을 num2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후 정수 부분을 return 하도록 soltu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아이디어 - 자바에서는 int / int 는 그 자체로 연산 결과가 int이다.(정수와 정수의 연산 => 결과 정수) - 그러니까 나누기 하게 되면 double로 나눌 수들을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2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정수가 들어 있는 배열 num_lis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_list의 원소의 순서를 거꾸로 뒤집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아이디어 1번째 예시 //0-4 1-3 2(그대로) 2번째 예시 //0-5 1-4 2-3 i는 증가하는데, 증가하는 값 가지고 감소하는 값을 표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