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와 Java
컴퓨터의 성능이 낮을 때는 빠른 속도를 위해 주로 저급 언어를 사용했지만, 하드웨어의 성능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함으로써 속도보다 생산성이 중요해졌다. 순차적 기법 -> 절차적 기법 -> 구조적 기법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보수 # 소프트웨어 위기 : 향상된 하드웨어의 성능을 활용하려는 요구 사항은 끝도 없이 늘어나는데 소프트웨어의 생산성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 Top down 방식에서 Bottom-up 방식으로 : 이를 변화하게 만든 가능한 부분이 바로 '객체지향' 90년대 이후 C 언어가 객체지향 개념을 도입하여 C++로 업그레이드 됨. 자바의 특징 - 다중 상속이나 연산자 재정의 같은 복잡한 문법을 제거하여 단순 명료하다. 그래서 배우기 쉽고 실수할 가능성이 낮다. - 캡슐..
[개발] - Java/개념 정리 2023. 1. 13. 00:48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며 / 첫 글
기존에 쓰던 블로그는 그냥 TIL용으로 두고 옮겨왔으나, 공부 블로그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할 지 우왕좌왕하다가, 질서가 없어져버렸다. 2022년 연말부터 쭉 작성해오던 purecode에서, 조금 더 정갈한 기록장을 만들기 위해 오늘부터 차곡차곡 다시 쌓아가야지. 취업할 시점이 되면 이 블로그에 여러가지가 덧대어 있어, 정말 "코드 그라데이션"이 구현되어 있길. 그리고 나는 정갈한 코드를 쓸 수 있는 주니어 개발자가 되어있길 소망한다. 이제 스프링 개념 겨우 잡았지만, 파이팅!
[생각들] 2023. 1. 13. 0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