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당 블로그 글 시리즈는 Udemy에서 수강한 <튼튼한 기획을 위한 서비스 기획자 화면설계 심화 트레이닝>을 수강하며 내용을 일부 정리한 부분을 커리큘럼에 따라 정리해본 수강록입니다.
서비스 기획의 분류
신규로 만들어진 서비스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리뉴얼하는 과정에서의 변경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업무가 포함되어 있다. 기획 업무 중에서는 신규로 만들어진 서비스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리뉴얼하는 과정에서의 변경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업무가 포함되어 있다.
서비스기획은 크게 전략기획, 구축기획, 운영기획으로 분류해볼 수 있는데,
전략기획 :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리서치 + 인사이트
구축기획 : 착수-설계-구현-검수 의 단계에 따른 프로젝트. 즉, 실제 구현을 위한 것
운영기획 : 중장기적인 목적으로 기존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점진적 개선 프로젝트
전략기획
- 방향성 제시하기 위해서 그냥 감으로 하는 기업은 없고, 근거가 필요하다.
- 사용자를 만나든, 시중의 시장을 보든, 전문가 의견을 듣든 간에 리서치를 토대로 해서 어떤 보고서 형태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그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해서 화면을 등록한다. 결국 서비스 기획의 특성인데, 화면이 존재해야지만 이해를 할 수가 있다.
구축기획
- 전략 단계 이후 실제 구현을 위한 것
- 페이지 단위로 양을 측정하기 때문에 페이지 본수가 매우 중요하다.
- ex. 여기에 레이아웃을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지, 정보구조를 어떻게 할 것인지,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정해진 시간과 자원을 이용해서 효율을 어떻게 극대화할 것인가를 만들어 내는 게 구축 기획의 묘미라고 할 수 있다.
운영기획
- 기존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점진적 개선 프로젝트
- 올해 매출, 올해 사용자 유입량, 올해 전환율 등을 평가한다.
- ex. 운영 중에 CEO가 올해 객단가를 현재 10,000원 → 20,000원으로 올려라.
- 이럴 때 상세페이지를 개선해야 한다.
- 상세 페이지에서 옵션을 추가해서 더 많은 단가를 판매할 수 있도록 올려줘야 한다.
⇒ 전체적인 매출을 늘릴 수 있는 방향으로 가는 것을 이제 유지 보수와 함께 설계하고 분석하는 작업들을 운영 기획이라고 분다.
운영 기획은 상대적으로 화면 기획을 하기는 하는데, 많이 하지는 않는다. 부분적으로 한다.
- 그 페이지만 나눠서 그 페이지만 뜯어가지고 계산한다든지 새로운 메뉴만 만든다든지.
=> 그래서 구축을 끼고 해야 한다.
프로젝트 유형별 화면설계의 특성
전략기획
- 방향성 설명/설득을 프로토타입을 통해 설명 => 의사결정자에게 보여주기
구축기획
- 구현을 위한 상세 설계 => 구현자들에게 보여줌
운영기획
구현 + 시뮬레이션 -> 구현자 + 의사결정자를 위함
'[기획] > 화면설계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 설계의 방식과 장단점 (0) | 2025.04.21 |
---|---|
IT 인프라에 대한 이해 (0) | 2025.04.21 |
화면설계를 위한 준비 사항 (0) | 2025.04.21 |
서비스 기획 도입 및 순서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