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획]

UX 기획 전략 프로세스

완벽한 장면 2024. 12. 23. 22:16

UX 기획 전략 프로세스

 

 

 

기획자란?

목적 달성을 위해 앱을 활용하여 설계를 하는 사람

 

목적 달성? 목적 =  ==> “돈을 벌기 위함 !!!

앱을 활용? 수단 =  ==> 앱은 그냥 수단일 뿐

(둘 사이의 혼동 방지할 것)

 

,,, 앱 개발을 위해 앱에 넣을 기능과 UI 화면을 설계하는 사람? NONO.

 

특히 UX 기획자의 기본 마인드는 돈이 목적, 앱은 수단.

 

 

가설 검증

: () 사업의 생존 수단은 끊임없는 가설 검증이다.

처음 사업을 시작하는 모바일앱의 시장 고객, 제품 등에 대한 생각들은 모두 가설이다.

가설 : 어떤 문제에 대해 우리가 가진 추측

() 기획자는 가설을 사실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가설을 입증하는 근거가 모여야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가설검증 능력

 

UX = 

- 수익이 형편없다는 건, 앱 사용자 경험이 형편없다는 것.

- 기업이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수익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 마케팅, 홍보는 다음 이야기.

- 온라인 비즈니스의 70%는 잘못된 UX 설계로 인해 실패한다.

 

 

1st. 발견

FGI 조사 (Focus Group Interview)

: 7~8명의 핵심 사용자를 모아놓고 신규 앱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 수집,

  pain point, 사용자 실제 반응 등을 파악하는 정성조사.

 

- 좌담회, 표적집단면접, 초점집단면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 신제품 개발 시 주부들을 모아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서비스 개선을 목적으로 충성고객들을 모아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 행태 연구를 위해 하루에 스마트폰을 5시간 이상 사용하는 10대들을 모아
집단 면접을 진행한다면 
이게 FGI 조사의 사례이다.

 

- FGI에서 면담자들은 자유롭게 스스로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다.

- 제시된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아니오'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답변하지 않는다.

 

FGI 조사가 효율적인 이유

 

- FGI는 한 번에 여러 명과 인터뷰를 진행한다.

- 이는 개개인별로 인터뷰를 하는 IDI(In Depth Interview)와 비교했을 때 시간 비용이 적게 든다.

- 또한 여러 명의 면담자가 상호작용하며 조사를 만들어 나가니, 조사자가 미쳐 놓치고 있던 정보를 수집하는데도 좋다.

- FGI는 인터뷰를 이끌어나가는 모더레이터가 함께한다.

 

- FGD(Focus Group Discussion)는 모더레이터 개입없이 면담자들끼리 주제에 대해서 토론과 논의를 하는 방법론.

- 때문에 조사가 산으로 가거나 강한 의견을 내는 사람에게 동조되어 하나의 결론으로 귀결되고 마는 위험이 늘 도사리고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 FGI는 이야기를 조절하고 심화해나갈 수 있는 모더레이터가 있기에 그만큼 정리되고 전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728x90
반응형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자와 커뮤니케이션  (0) 2024.12.23
기획과 기획력  (0) 2024.12.23
웹 vs 앱  (0) 2024.12.23
페르소나(Persona)  (0) 2024.12.23
UX기획에 대한 기초 개념  (0) 2024.12.23
Comments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