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실무를 수행하며

구매대행과 위탁판매 (2)

완벽한 장면 2025. 1. 4. 08:40

공통점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2. 위탁판매

- 위탁판매는 제조사나 공급업체로부터 상품을 위탁받아 판매하고, 판매된 상품에 대해서만 대금을 정산하는 방식이다.

- 판매자는 재고를 소유하지 않으며, 대신 판매를 대행합니다.

 

운영 방식

1) 공급업체와 계약

- 판매자는 특정 제조사, 유통사, 공급업체와 위탁판매 계약을 체결.

 

2) 상품 등록 및 판매

- 판매자가 공급업체의 상품 정보를 쇼핑몰이나 판매 채널(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에 등록.

 

3) 고객이 주문

- 고객이 판매자의 쇼핑몰에서 주문하면, 그 정보를 공급업체에 전달.

 

4) 공급업체가 발송

- 공급업체가 제품을 직접 고객에게 발송.

 

5) 정산

- 공급업체는 판매자에게 도매 가격을 청구.

- 판매자는 도매가와 소비자가의 차액(마진)을 수익으로 가짐.

 

운영 사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위탁판매:

- 판매자가 스마트스토어에서 공급업체의 상품을 대신 등록 및 판매.

- 주문이 들어오면 공급업체가 발송.

 

해외 위탁판매:

- 알리바바(Alibaba)나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의 제품을 쇼핑몰에 등록해 해외로 판매.

 

SNS 마켓:

- SNS에서 위탁판매 제품을 개인 판매.

 

장점

재고 부담 없음

- 재고를 직접 관리하지 않아도 됨. 공급업체가 관리.

 

운영 간편성

- 상품 등록과 판매에만 집중. 포장, 배송은 공급업체가 처리.

 

상품 다양화

- 여러 공급업체와 계약하여 다양한 상품을 한 채널에서 판매 가능.

 

단점

마진율 낮음

- 공급업체와의 계약 조건에 따라 판매 마진이 낮을 수 있음.

 

배송 품질 및 시간

- 공급업체가 배송을 책임지므로, 고객 불만 발생 시 판매자가 개입하기 어려움.

 

브랜드화 어려움

- 판매 상품이 공급업체 브랜드로 표시되기 때문에, 독자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어려움.

 

 


구매대행 vs 위탁판매

  구매대행 위탁판매
재고 보유 보유하지 않음. 고객 요청 시 구매 보유하지 않음. 공급업체가 관리.
주문 처리 고객 요청 후 구매 및 배송 주문 후 공급업체가 직접 배송.
수익 구조 구매 수수료 + 배송비 청구 도매가와 소비자가의 차액(마진)
배송 책임 대행업체(판매자)가 책임 공급업체가 직접 발송.
상품 소유권 고객의 요청으로 대신 구매하므로 판매자가 소유권 없음 공급업체가 상품을 보유, 판매자도 소유권 없음.
주요 사용 사례 해외 직구, 희귀 상품 구매 대행 온라인 쇼핑몰, 소셜 커머스, B2C 판매

 

비즈니스 선택 기준

구매대행이 적합

- 특정 시장의 희소성 높은 상품을 공략하고 싶을 때.

- 초기 자본을 거의 들이지 않고 다양한 상품군을 테스트할 때.

 

위탁판매가 적합

- 이미 구축된 공급망을 활용해 빠르게 상품군을 늘리고 싶을 때.

- 재고 부담 없이 유통 중심의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싶을 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