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실무를 수행하며
구매대행과 위탁판매 (1)
완벽한 장면
2025. 1. 4. 08:17
공통점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
1. 구매대행
개념
- 구매대행은 고객이 특정 상품을 요청하면, 판매자가 해당 상품을 대신 구매하고 이를 고객에게 배송하는 방식.
- 고객이 직접 구매하기 어려운 제품(해외 상품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판매자는 이를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다.
고객이 "저기 있는 가방 좀 대신 사다 주세요"라고 요청하면, 판매자가 대신 구매해 주는 역할.
특징 및 운영 방식
재고 부담 없음
: 판매자가 상품을 직접 보유하지 않음. 고객이 요청한 상품만 구매.
수익 구조
- 상품 구매 대행 수수료.
- 배송 대행 수수료
운영 방식
1) 소비자가 요청
- 고객이 원하는 상품 정보(상품명, 링크, 옵션, 수량 등)를 제공.
2) 판매자가 구매
- 고객 대신 해당 상품을 해외 또는 특정 쇼핑몰에서 구매.
- 구매 대금을 고객에게 먼저 받거나, 대행업체가 선구매 후 대금을 정산.
3) 배송 대행
- 상품을 구매처에서 대행업체로 배송 → 이후 고객에게 최종 배송.
- 경우에 따라 직접 해외에서 구매 후 고객에게 발송.
4) 수수료 및 비용 정산
- 상품 구매 비용 + 국제 배송비 + 구매대행 수수료를 청구.
사례
해외 직구 대행:
- 고객이 Amazon, eBay, Taobao와 같은 해외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하기 어려운 경우.
- 소비자는 언어, 결제, 배송 문제를 신경 쓰지 않고 원하는 상품을 구매 가능.
한정판 구매 대행:
- 고객이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희귀 아이템(예: 한정판 스니커즈, 굿즈)을 요청.
특정 국가 전문 구매대행
- 일본, 중국, 미국 등 특정 국가의 제품을 전문적으로 구매 대행.
- 예: 일본산 서적, 중국산 저렴한 전자제품.
장점
1) 초기 비용 부담 적음
- 판매자는 재고를 쌓아둘 필요가 없음.
- 고객이 요청한 상품만 구매.
2) 다양한 상품군 취급 가능
- 특정 품목군에 국한되지 않고, 고객 요청에 따라 폭넓게 취급.
3) 니치 마켓 공략 가능
- 희소성 높은 상품(한정판, 해외 특정 상품)에 특화 가능.
단점
1) 배송 지연 문제
- 국제 배송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2) 교환/환불 어려움
- 고객이 상품에 불만이 있을 경우, 판매자가 직접 처리해야 하는 어려움.
3) 법적 이슈
- 일부 국가에서는 구매대행이 수입 통관 규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