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콘텐츠 기반 벤치마킹을 활용한 기획 과정
완벽한 장면
2025. 1. 3. 00:44
콘텐츠 기반 벤치마킹을 활용한 기획 과정
콘텐츠 기반 벤치마킹을 활용해 업무를 진행하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해야 한다.
1단계. 콘텐츠의 방향성 설정
가장 먼저 어떤 콘텐츠를 다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한다.
- 재미와 유용성에 따른 고려 중에서 우리 서비스는 어떤 방향의 콘텐츠를 담아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첫 단계.
2. 유용성과 재미의 세부 분류
콘텐츠의 방향성이 정해졌다면, 다음 단계는 재미와 유용성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이다
- 예를 들어, "재미를 줄 것이다"라고 한다면, 어떤 종류의 재미를 제공할 것인지 구체화해야.
- 마찬가지로 "유용성을 강조할 것이다"라면, 어떤 형태의 유용성을 제공할지 고민해야 한다.
- 이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콘텐츠 아이디어와 적용 사례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
3. 사용자와 콘텐츠의 연계 및 활성화 포인트
콘텐츠의 세부 분류가 끝났다면, 이제는 사용자와 콘텐츠를 어떻게 연결하고 활성화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 과거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현재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환경이 보편화되었다.
- 따라서, 능동적인 콘텐츠 생산과 소비를 독려할 수 있는 설계가 필수적.
- 콘텐츠가 너무 난해하거나 전문적이라면,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렵다.
- 콘텐츠를 활성화하는 데 실패한다면, 그 콘텐츠는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활성화를 위한 설계 요소
- 게임화 요소(Gamification): 콘텐츠 생산과 소비를 재미있게 유도할 방법 설계.
- 사용자 경험 강화: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환경 구축.
- 콘텐츠 확보와 소비 환경: 많은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를 소비할 수 있는 순환 구조 설계.
4. 서비스의 방향성과 기술적 설계
마지막 단계는 서비스의 근본적인 방향성과 기술적 설계를 다룬다
- 서비스 방향성: 고객이 기대하는 목표를 명확히 하고, 서비스의 장기적인 비전을 설계.
- 기술적 프로세스 설계: 서비스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기술적인 흐름과 시스템을 구축.
- 화면 설계: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디스크립션,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를 구체화.
기획자의 선행 고민
이 흐름은 단순히 기술적 설계나 화면 설계에 그치지 않고, 서비스를 어떻게 사업화하고,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포함한다.
- 많은 기획자들은 "기획"이라고 하면 화면 설계, 디스크립션, 정보 아키텍처를 떠올리지만,진정한 기획은 그 이전 단계에서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서비스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고객이 바라는 지향점을 충족시키기 위해, 선행 기획적 요소가 중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