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실무를 수행하며

이벤트 기획 시 고려해야 할 사항 (2)

완벽한 장면 2024. 12. 24. 23:47

이벤트 제작의 전체 프로세스를 검토하고 효율성 개선 포인트 찾기

1. 이벤트 제작 프로세스의 세 단계 검토

# 초기 단계: 예산 편성 및 아이디어 기획 단계에서부터 이벤트 제작을 시작.

  • 예산 승인 후 초기 기획, 내부 결재, 개발팀과 디자인팀에 요청.

# 개발 및 디자인 단계: 디자인 시안 검토 및 아이디어 반영 후 개발 진행.

  • 디자인과 개발이 완료되면, 설정한 일정에 맞춰 오픈.

# 마무리 단계: 후처리 단계에서 당첨자 선정, 알림 발송, 리워드 제공 및 예외 처리.

  • 예산 사용 결재와 지출 결의 과정을 통해 최종 처리.

 

2. 전체 프로세스를 범주로 잡아야 한다.

  • 비효율 발생 요인 파악
    : 특정 구간만 검토하면 놓치는 개선 가능성이 큼.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아야 비효율을 줄일 수 있는 포인트를 찾아낼 수 있다.
  • 자동화 시스템 구축 필요성
    : 초기 아이디어 리스트업부터 후처리, 데이터 분석까지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법 모색해야 한다.

 

3. 세부 효율화 포인트

  • 아이디어 리스트업 및 선정 단계의 체계화.
  • 승인된 기획 내용만 개발로 연동하여 불필요한 반복 작업 방지.
  • 당첨자 선정 및 알림 발송 방식을 시스템 내에서 정형화.
  • 후처리 및 예산 결재 과정을 일원화하여 지출 결의와 데이터 관리.

 


이벤트 시스템 자동화 시 시간, 비용 절감과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치 분석

1. 자동화의 필요성과 기대치 파악

  • 자동화 시스템 구축 시, 업무 효율 증대와 매출 증가 효과를 수치로 분석하여, 프로젝트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 ex. "이 시스템 도입으로 업무 시간을 며칠 단축하고, 매출이 몇 퍼센트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와 같은 구체적인 데이터로 설득력 확보.

2. 신규 시스템 구축 시 직관의 중요성

  • 기존에 없던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는 경우, 명확한 비교 데이터가 없어 직관적 판단이 필수적이다.
  • 타사 사례나 데이터가 부족할 때에는 비즈니스 임팩트를 직관으로 예상하고 설득력을 높여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