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프로덕트 디자이너(Product Designer)

완벽한 장면 2024. 12. 24. 23:14

프로덕트 디자이너 Product Designer

프로덕트 디자이너(Product Designer)는 제품의 전반적인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책임지는 직무로, UX와 UI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의 전체적인 전략과 기능, 사용성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역할

사용자 조사 및 문제 정의

  •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필요와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조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어떤 기능이 필요할지 정의를 수행한다..

아이디어 구상 및 컨셉 개발

  •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의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이를 구체적인 디자인 컨셉으로 발전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제품의 목적, 기능, 사용자 흐름을 고려하여 다양한 솔루션을 탐색해 나간다.

UX/UI 디자인 통합

  • :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UX와 UI 디자인을 통합적으로 다룬다.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단계까지 포함하여 제품이 사용하기 쉽고 시각적으로 일관된 디자인을 갖추도록 만든다.

프로토타입 제작 및 테스트

  • :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제품의 초기 모델(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이를 통해 실제 사용 상황에서의 문제점을 테스트한다.
    피드백을 반영하여 디자인을 개선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개발팀 및 비즈니스 팀과의 협업

  •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능과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팀과 협력한다.
  • 개발자와 협력하여 제품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도록 하고,
    비즈니스 팀과 협력하여 제품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한다.

제품 출시 및 지속적인 개선

  • 제품이 시장에 출시된 후에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새로운 기능 추가, 디자인 업데이트, 버그 수정 등을 포함.)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특징

  • 포괄적 역할: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UX/UI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능성, 사용성, 비즈니스 목표까지 고려.
  • 전략적 사고: 제품의 성공을 위해 디자인과 기술, 비즈니스 전략을 통합적으로 고려.
  • 크로스 기능적 협업: 다양한 팀과 긴밀히 협력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성공이 목표.

 


회사 조직 형태별로 나누면?

 

회사 조직에 따른 디자인 역할의 분리:

  • 워터폴 방식을 따르는 회사는 UX와 UI 디자이너를 분리하여 각자의 전문성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이 경우 문서를 정확하고 정교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 린 스타트업 방식을 따르는 조직은 빠른 프로토타입 제작과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반복적 개선에 중점을 둔다.
    이 경우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UX와 UI 작업을 함께 수행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조직의 규모와 협력

  • 조직의 규모와 디자인 역할
    : 스타트업은 예산과 리소스 제약으로 인해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선호할 수 있지만,
    대기업도 린 스타트업 방식을 채택하면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을 선호할 수 있다.
  • 협업의 중요성
    :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개발자와 프로덕트 매니저와 매우 긴밀하게 협업하며, 팀의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디자인 아이디어와 개발자의 아이디어를 함께 반영하곤 한다. 이는 전통적인 UI 기획자 역할과 대비를 이루는 부분.

 

 


역할 구분

1) UI 기획자의 역할

  • 초기 단계에서의 역할
    :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의 뼈대를 만드는 역할을 함.
    주로 문서를 작성하고 이를 팀과 공유하며, 디자인의 기초를 마련한다.

  • 협업
    : UI 디자이너와 협력하여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 의견을 공유한다.
    하지만 시각적인 부분은 UI 디자이너가 전적으로 담당.

  • 산출물
    : UI 기획 문서와 디자인 산출물이 개발팀에 전달되어, 이를 바탕으로 제품이 개발됩니다.

 

2) UI 디자이너의 역할

  • 디자인 구현
    : UI 디자이너는 UI 기획자의 기초 작업을 바탕으로 하이파이(High-Fidelity) 프로토타입을 만든다.
    시각적 디자인을 전적으로 담당하며, UI 관련 산출물을 문서화하여 개발팀에 전달한다.

  • 순차적 프로세스
    : UI 기획자가 사용자 분석과 기획을 담당하고, UI 디자이너가 이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후, 개발팀이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완성한다. 이 과정은 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특징.

 

3)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

  • 린 조직에서의 역할
    : 린 조직에서는 순차적인 프로세스보다 빠르게 시장에 대응하고, 제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프로젝트 매니저(PM)와 엔지니어와 함께 초기부터 긴밀하게 협업.

  • 다양한 참여
    : 사업 전략, 사업 모델 회의에도 참여하며, 제품 기획과 와이어프레임 제작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UX 디자이너의 역할도 일부 수행하며, 초기 단계부터 엔지니어와 협력해 의사결정을 내린다.

  • 빠른 피드백 반영
    :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받아 즉각적으로 개선하는 과정을 반복.
    이 과정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다양한 팀원들과 함께 의사결정을 진행한다.

 

정리하자면

  • UI 기획자와 UI 디자이너: 순차적으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획과 디자인을 분리하여 진행.
  • 프로덕트 디자이너: 린 조직에서 빠른 피드백과 제품 개선을 위해 기획, 디자인, 개발 팀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전체 프로세스를 주도적으로 관리.

 

 

역할 구분 그림

폭포수 조직 vs 린스타트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