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UX와 UI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완벽한 장면 2024. 12. 24. 02:09

UX란?

 

: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물리적 경험과 가상 경험 모두 포함.

ex. 후각(커피숍의 좋은 냄새), 촉각 등 물리적 경험도 UX에 포함.

 

사용자 관점에서의 디자인이 중요하며, 디자이너는 자신의 감이나 관점이 아닌 사용자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과정: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며, 반복적인 실험과 피드백을 통해 제품을 개선하는 과정.

 

핵심 질문: 사용자를 충분히 고려하였는가?

 


 

UI란?

: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제품의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한 것.
시각적 언어의 규칙을 만들고, 제품의 외형적인 표면을 디자인하는 작업.

 

UX와의 공통점은 사용자에 대해서 배우고 그들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기획을 하는 것.
 

-> UI 디자인은 뼈대가 만들어졌다면 사용자에 대한 이해도 됐고 뼈대도 만들어졌다면 이제 시각적으로 사용자가 보게 될 그 영역을 구체화 시키고 실현시키는 것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은 이제 결국 사용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경험이라는 것.
그래서 이거는 어떻게 보면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둘을 충분히 같이 통합적으로 고려를 해야 되는 것.

 

 

UI/UX 디자인 프로세스

  • 프로세스 개요: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며,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는 것.
  • 목표: 사용자에 대해 배우고, 그에 맞춰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는 반복적 작업.

 

Design Thinking

디자인 싱킹 개념은 무엇이냐 사용자에 대한 공감을 중심으로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혁신 방법.

사용자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해서 그 과정을 밟아 나가자라는 것을 기반으로 한 프레임워크입니다.

 

단계

1) 공감하기

: 사용자에 대해서 이해하고 + 사용자가 느끼는 기분을 이해하고 그것을 공감 내재화시키는 것.

 

2) 정의하기

: 문제 정의.

사용자가 제공한 어떤 피드백 등을 토대로
그럼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거기서는 어떤 문제점이 있었을까? 등을 정의하는 것. => 해결 방안의 모색

 

3) 아이데이션

: 앞서 나온 문제점에 대해서 그럼 이걸 우리는 어떻게 해결해 줄 것인가에 대해서 브레인스토밍을 하는 것.

 

4) 프로토타입

: 아이디어를 시제품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는 단계. 출시 이전에 이 프로토타입을 봤을 때 그것에 대한 사용자가 의견을 줄 수가 있는 것.

 

5) 테스트

: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개선.

 

총체 : 발산과 수렴

  • 발산 : 여러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과정
  • 수렴 : 선택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테스트하는 과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