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획 문서, 산출물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완벽한 장면 2024. 12. 24. 00:10

대중적?

  • 자본의 힘

매니아적?

  • 오히려... 돈을 끌어모을 수 있다.
  • ex. 하이엔드 브랜드
  • => 팬덤 구성 => 오래 살아남는다.
  • 따라서 팬덤층이 더 중요하다.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구조(도)

 

정보란?

서비스에 들어갈 기능

기능

핵심기능

  • 고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직접적인 기능
  • ex.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능

서브기능

  • 핵심기능에 연관성이 있거나 도와주는 기능
  • ex. 이미지 편집기능 / 확장자 변경 기능

 

구조란?

나뭇가지 구조

→ Depth 라는 구조

 

기획에서 IA를 짜는 이유는?

  • 아이디에이션의 정리 방법

 

팔을 IA로 만들기

    • 어깨뼈
    • 손목뼈
    • 연골
  • 신경
  • 근육

⇒ 만들기 좋은 툴 Figjam

 

 

작성 순서

1) 정보를 아이디에이션한다.

2) 구체화, 반대기능 진행

계정 - 생성

장바구니 - 리스트업, 담는 기능

 

구매 <-> 환불

생성 <-> 탈퇴

장바구니 담기 <-> 장바구니에서 빼기

 

3) 연관성 있는 것끼리 구조화를 한다.

계정 - 생성 로그인 로그아웃 계정정보 수정 => 구체화됨

로그인 => 계정확인 기능 SNS 로그인

이것들을 쭉 연결해주면 됨.

더 있다. ==> 뎁스가 계속 늘어남

 

우측에다가 먼저 작성하기를 권장.

 

 

4) 고객용을 바탕으로 어드민을 만든다

 

 

 

팀원들의 싱크에 맞게만 만들어주면 된다.

IA 예시

 

 


GPT가 알려주는 IA

정보 아키텍처(Information Architecture, IA) 문서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로, 프로젝트 팀이 일관된 방향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문서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사이트 맵(Site Map)

웹사이트의 페이지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표다.

페이지 간의 관계와 탐색 경로를 보여준다.

주요 페이지와 하위 페이지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전체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한다.

 

2. 와이어프레임(Wireframes)

페이지의 레이아웃과 주요 요소(메뉴, 콘텐츠 블록, 버튼 등)를 간단하게 스케치한 도식.

각 페이지의 구성 요소 배치와 기능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디자인 단계 이전에 구조와 기능을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게 도와준다.

 

3. 라벨링 시스템(Labeling System)

사용될 라벨(메뉴 항목, 버튼 텍스트 등)의 목록과 그 의미를 정의한다.

일관된 용어 사용을 보장하고, 사용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4.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사이트 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방법과 경로를 설명.

글로벌 내비게이션, 로컬 내비게이션, 피드백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내비게이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내비게이션 요소의 위치와 역할을 명확히 한다.

 

5. 콘텐츠 인벤토리 및 분류(Content Inventory and Categorization)

현재 존재하는 콘텐츠와 향후 추가될 콘텐츠의 목록을 작성한다.

각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해당 위치를 정의한다.

 

6. 사용자 플로우(User Flows)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시각화한 도표.

예를 들어, 회원가입, 상품 구매, 문의하기 등의 작업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능과 정보를 정의한다.

 

7. 메타데이터 및 태깅 시스템(Metadata and Tagging System)

각 콘텐츠에 추가될 메타데이터(작성자, 날짜, 태그 등)를 정의합니다.

효과적인 검색과 필터링을 위해 필요한 태그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8. 기능 사양(Function Specifications)

각 페이지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사양을 포함한다.

기능의 동작 방식, 데이터 처리 방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요소 등을 자세히 설명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