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장면 2024. 12. 24. 00:03

정책안

고객이 접하는 정책안

  • ex)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약관 동의 ⇒ 전문

 

정책안을 쉽게 바라보자

  • 놀이 → 서비스
  • 규칙 → 정책
  • ex. '소꿉놀이' -> 서비스
    소꿉놀이의 규칙 -> 정책

 

정책안 작성 순서

기획자 : 초안을 만듦 → 법무팀, 변호사 자문 → 검토 후 완성

=> 기획자는 초안 작성만 할 줄 알면 된다.

 


영상 보기

https://youtu.be/dEK3QYX_P0U?si=uxnT09WkU74rOEU4

 

크리에이터의 솔루션

  1. UX를 활용 => tnlqek.
  2. 직관적
  3. 재미가 있음

정책안의 종류

내부적 정책안

  • 팀 내부에만 적용되는 기획안

 

외부적 정책안

  • 공개적인 정책안

 

 

정책안 종류

  • 이용약관
  • 서비스이용약관환불약관
  • 회원 정책안 https://www.law.go.kr/법령/개인정보보호법
  • 결제에 관한 정책
  • 데이터 활용에 대한 정책
  • 심사정책
  • 위치정보 처리 정책
  • 개인정보 처리 정책
  • 구매약관
  • 탈퇴 약관

정책안 제작 방법

1) 유사서비스의 정책안을 복사하여 참조한다.

  • 장점 : 가장 직관적으로 작성한다.
  • 단점 : 내용파악과 이해도가 부족하여 오류가 생긴다.
    • 단순 카피인 경우, 여러 오류 많이 발생

 

 

2) GPT를 활용하여 정책안을 만든다.

  • 역할을 부여한다.
  • 조건을 알려준다.
  • 미션을 부여한다.
  • 수정 및 업데이트한다.
  • 최종 복사를 위한 아웃풋 추출을 명령한다.(엑셀로 저장)

예시

역할 설정

 

미션 부여

 

GPT가 작업을 시작

 

 

그런데 환불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업데이트 필요.

수정 및 업데이트

 

추가적인 업데이트

 

 

 

이 서비스를 추출하기

 

 

이제 이걸 기반으로, 새로운 작업을 요청할 수 있게 됨.

 


한계점

  • 2 Depth까지밖에 (최대 3 Depth) 만들질 않는다.
    그래서 더 디테일한 부분이 필요함

⇒ 기획자의 최종 검토가 필요하다.

 

 

3) 직접 A to Z로 작성한다.

  • 1. 정의하기
    • 우리의 서비스는 돈을 주는 서비스이다.
  • 2. 활용하기 (범위)
    • 어디까지 돈을 줄 것인지?
    • 어떤 것이 필요한지?
  • 3. 관리하기
    • 문제가 생기면?
    • 책임자는? ...
  • 4. 업데이트
    • 언제부터 시행?
    • 몇 번째 버전?

이러한 내용들이 포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