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가설 검증
완벽한 장면
2024. 12. 23. 22:46
가설 검증의 단계
- 가설(추측고객, 페르소나 1차) → 검증 → 업데이트
검증 방법
1. 직접 조사
1) 직접적인 컨택으로 조사를 진행한다.
2) 대면 인터뷰
3) 오프라인 채널
→ 몇 명? : 20명 이상
=> 최소 40명 정도는 해야 한다.
- 통계학에서 신뢰성 얻는 모수는 16
- 서울대 수의학과는 23으로 잡고 논문을 작성한다.
장점과 단점
- 장점 : 메타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즉각적인 피드백 수용이 가능하다.
* 일반적으로 가장 시각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 "눈"
*그런데 왜 하는 걸까?
ex. 크리에이터 수강생의 공통점? 현재는 모른다.
- 그런데 실제 만나면?
- 공통적인 것을 파악할 가능성이 높아짐
즉, 오프라인 설문조사에서 더 깊은 것을 얻어갈 확률이 커짐.
- 단점 : 공간적, 시간적 제한사항이 있다. 육체적 피로감 큼
ex. 강원도에 사는 사람을 서울 사람인 내가 만나려면?
2. 간접 조사
1) 간접적인 방법으로 컨택하여 조사한다.
2) 전화, 온라인 설문 배포, 종이 설문지 돌리기 등
3) 온라인 채널
→ 몇 명? : 100명 이상 → 온라인 채널이 20개 이상
장점과 단점
- 장점 : 공간과 시간의 제한이 없다. 동시에 여러명의 설문을 받을 수 있다.
- 단점 : 답변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답변의 이해도를 요구한다.
- => 고객을 제대로 알 수 없다.
3. 관찰
1) Case : 상황정의
- Case를 설명해야 한다.
2) 기록 중심의 검증
- 사람들의 생활패턴이 어떤지 기록을 해야 한다.
-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 시나리오를 준다.
- 행동이 드러난다.
- 그 행동을 그대로 관찰, 모니터링 후 기록
추천 순서 : 직접조사<시장파악> → 간접조사<니즈파악> → 관찰
핵심 : 대표성 있는 고객
이 데이터가 중요하다.
=> 서비스는 메인 타깃을 중심으로 만들어지고 돌아가니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