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지식]/[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본 개념 (1) IP 주소
완벽한 장면
2023. 5. 22. 12:49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 인터넷 상에서 장치 간 통신을 위해 장치를 식별하는 주소
IPv4 vs. IPv6
IPv4
-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소로 32bit 구성 (약 43억개)
- [0-255]. [0-255]. [0-255]. [0-255] 와 같이 10진수 4개를 . 으로 구분하여 표기 (예, 192.168.0.2)
- 특정 IP는 특별용도로 예약되어 사용(예, 127.0.01 (로컬호스트(루프백) 주소))
IPv6
- IPv4 에서의 IP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128bit(16byte)로 구성(43억* 43억* 43억* 43억)
- [0000-FFFF]:[0000-FFFF]:[0000-FFFF]:[0000-FFFF]:[0000-FFFF]:[0000-FFFF]:[0000-FFFF]:[0000-FFFF] 와 같이 4자리 16진수(16bit) 8개를 콜론(:)으로 연결하여 표기 (예. 200F:02AB:A038:FF09:200F:02AB:A038:FF09)
- 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56 가지 수
IP 주소의 분류
- B클래스와 C클래스의 구분은 네트워크 ID 에 몇 바이트를 할당하느냐에 따라 나뉨
- A, B, C클래스는 네트워크의 개수와 호스트의 개수에 할당되는 바이트에 따라 분류가 된다.
클래스별 가용 네트워크 및 호스트 범위와 수
- A 클래스로 갈수록 네트워크에 더 많은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고, C 클래스로 갈수록 줄어든다.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ID(NetID)와 호스트 ID(HostID)를 구분하는 마스크
- 즉, IPv4로 표현되어 있는 IP주소에서 네트워크ID를 뽑아내는 데 사용하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ID = IP주소 & 서브넷마스크
- ex. IP(128.123.222.123), SubnetMask(255.255.0.0) => NetID=128.123.0.0
예시
이러한 상황이면, B클래스 네트워크 4개를 할당할 것인가?
=> 실제로 현실적으로 고려해보면 낭비...
- C는 부족, B는 낭비
- 그래서 쉽게 설명하자면
B 클래스 하나를 할당하고, 쪼갰다.
4개의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하고 1/4개의 호스트만큼을 가질 수 있도록 함.
즉, 그림으로 살펴보자면
이러한 형태
그런데 우리는 원래 이거 안해도 네트워크 ID 가 뭔지는 알고 있다.
이미 클래스에서 정의가 될 수 있으니까.
그런데 서브넷 마스크를 쓰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위와 같은 상황 때문이다!!!
공인 IP vs 사설 IP
공인 IP
- 인터넷상에 서로 다른 장치들간의 유일한 식별에 사용
- 나라별로 별도 기관에서 관리하며, 한국은 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
사설 IP
- 내부망 내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IP
- 내부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별로 중복 가능
핵심 => 변환 이다!!!
이런 상황.
728x90
반응형